개인소싱 썸네일형 리스트형 개인이 할 수 있는 현실적인 해외 소싱 방법 5가지 '해외소싱 마스터 리뷰' 이종구 대표가 알려주는 현실적인 해외 소싱 방법 5가지 1. 해외 소싱으로 해외 브랜드의 국내 판권을 따오는 것. 이제 막 시장에 등장한 신규 브랜드 중에서 병행수입이나 해외 직배송등의 현태로 국내에 입소문이 막 나기 시작한 브랜드를 찾아야 한다. 인플루언서의 인스타그램을 뒤지다 보면 자주 이런 브랜드를 찾을 수 있다. 일본 골프 브랜드 '마크앤로나', '마빈스 치약', 고현정 크림으로 유명했던 '산타마리아 노벨라'라는 화장품 브랜드 등이 이런 식으로 인플루언서를 통해 인기를 끌었던 니치 브랜드 (틈새 브랜드)였다. *니치 브랜드의 특징은 이메일로는 잘 답변을 주지 않고 웬만한 무역박람회에도 참가하지 않아 직접 현지에 가야만 만날 수 있다는 점. 그래서 이종구 대표는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소셜커머스 .. 더보기 신사임당 이종구 대표의 '해외 소싱 마스터 리뷰 4편' 본업이 영어 입시 선생님이다 보니 이제 고등학생들 내신 준비하느라 독서 리뷰를 꽤 하지 못했다... 독서하며 정리해두는 게 취미인데.. 본업에 집중하느라 이어질 책 내용이 궁금해 죽을 뻔... 해외 소싱 마스터 반까지 읽고 저번에 리뷰 해드리기 위한 정보와 새로운 정보를 몇몇 정리해보았다. 이종구대표가 말하는 공장 소싱처 구하는 방법. 몇 년 전부터 국내법이 바뀌면서 모든 수입 상품에 스티커로 부착된 상품 품질 표시 라벨에 제조공장 이름과 주소를 표기하는 일이 벌어졌다. 품질 표시에 제조공장 정보가 적혀 있는 경우는 국내에서 현지 공장에 직접 제조를 의뢰한 경우만 해당된다. 예를 들어 외국 브랜드가 중국 공장에서 물건을 제조했는데 그 브랜드 상품을 국내 업체가 수입하면 공장 정보를 표기하지 않아도 된다... 더보기 이전 1 다음